분류 전체보기23 [직무탐색] SW개발자, 엔지니어 직무 딥다이브 날짜 250124 금 어제 한 일 클라우드 엔지니어 직무 탐색클라우드와 데이터베이스 차이 이해힙 자료구조 공부인프라, 아키텍쳐, 프로토콜 이해 인프라인프라는 시스템이 돌아가기 위한 환경을 말한다. 애플리케이션이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외부적 요인으로 하드웨어,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이 포함된다. 클라우드에서는 IaaS 에서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한다.이러한 인프라 위에서 돌아가는 시스템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고, 어디서 개발되는지에 따라 웹으로, 앱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 등등 그 용도에 맞게 불린다. 이것들을 총망라해서 소프트웨어라고 부른다. 클라우드에서 어떤 서버를 띄워달라고 할 때 띄워줄 수 있는 사람이 클라우드 엔지니어이다. 아키텍쳐과거 백엔드 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는데(monoliti.. 2025. 1. 24. [자료구조] 우선순위 큐 & 힙 코테 준비에 대한 고찰 코테 언어지금까지는 코딩테스트 언어로 파이썬을 써왔었다. 코딩을 참 못하는 나에게 파이썬은 그나마 코테를 볼 수 있게 도와준 감사한 언어다. 하지만 취업을 준비하며 직무에 따라 유동적으로 코테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프론트엔드 준비에는 JS, 백엔드에서는 Java, Python, 임베디드에서는 C++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인프라 직무를 준비한다면 코테의 비중을 조금 덜 필요도 있다. 이처럼 직무에 따라 비중을 둬야 하는 언어가 다르지만, 아직 어떤 직무로 갈지 확정하지 못했으니 자료구조, 알고리즘 같이 핵심에 집중하기로 했다.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Kit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키트의 문제를 맛만 본 흔적이다. 우선 이 고득점 키트에 있는 유형을 익히고 파이썬으로 풀어본 .. 2025. 1. 24. [클라우드] 클라우드와 데이터베이스의 차이 IDC: Internet Data Center, 인터넷과 인터넷과 연결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센터다.IDC에는 서버가 있다. 실제 물리 서버가 존재하는데, 이를 클라우드화해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처럼 사용한다. 서버에는 웹 서버, WAS(Web Application Sever)서버, DB서버, 채팅서버 등등 다양한 종류의 서버가 존재한다.(웹서버와 WAS의 차이는 정적인지, 동적인지의 차이)그리고 서버의 종류에는 DB 서버가 포함된다.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는 DB 서버에 저장된다.서버에 저장된다는 말은 DB 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된다는 뜻이다.DB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며 마치 하드디스크와 같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에 이미지가 있고, 이를 보고 싶으면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워드 파일을 읽으려면 워드 프로그램.. 2025. 1. 23. [클라우드] MSA가 뭐고 MSA: Micro Service Architect소프트웨어 아키텍쳐 중 하나로, 독립적으로 구성 가능한 작은 단위의 서비스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구조를 말한다. 기존 서비스의 아키텍쳐는 시스템(인프라) 위에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올라가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되는 아키텍쳐를 Monolitic 시스템, 즉 단일 시스템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로 왜 쪼개지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다.마이크로 단위의 기준이 뭘까? 어디까지 단위를 마이크로 서비스라고 하나?무조건 쪼갠다고 하는 게 정답인가?쪼개면 뭐가 좋아지냐? 일단 시스템을 쪼개면 쪼갠 단위에서 각각 호출하고 사용할 수 있다.대부분의 서비스는 서로 연동되어 있고, MSA의 철학도 각각 통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마이크로 서비스.. 2025. 1. 23. [직무탐색] 클라우드 엔지니어 로드맵 클라우드 엔지니어 로드맵가장 유사한 직종은 데브옵스전통적인 TA, 서버 엔지니어 정도로 바라볼 수도 있다.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할 것.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회사로 나뉨.가장 유명한 퍼블릭 클라우드 회사: AWS, AZURE, GCP프라이빗 클라우드: 가상화 솔루션(VMware) -> IDC -> 클라우드화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보다 전문화된 네트워크, 운영체제, 가상화의 이해를 높여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AWS의 구성을 만드는 입장과 활용해서 적용하는 입장으로 나뉘어진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개발을 하다보면 익숙해질 수 있다.프라이빗 클라우드 분야는 굉장히 난이도가 높다. 전문성이 필수. 클라우드 엔지니어라 함은 둘 다 하기보다는 한 쪽에만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어떤 회사는 퍼.. 2025. 1. 2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