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프라5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3편 - 스토리지 톺아보기 스토리지비휘발성 저장장치.인공지능, IOT 기술 등장으로 데이터 홍수의 시대가 됨.이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이 조명받기 시작함.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가상화 기술 등등)그래도 근간이 되는 스토리지 기술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함. RAID =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 디스크의 고가용성과 고성능을 달성한다.RAID는 HW, SW 적으로 모두 지원이 가능하다.방식에 따라 RAID Level이 구분된다. RAID 0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때, 데이터를 작은 조각인 세그먼트로 나눠서 저장한다. RAID 0는 논리적으로 연속된 데이터 세그멘트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방법이다.하나의 디스크 폴트만 발생해도 데이터 전체를 잃어버리게 된다. 가용성이 낮아 실무에서는.. 2025. 2. 2.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2편 - 네트워크 톺아보기 2편네트워크 기초7,6,5계층: 소프트웨어 계층4,3,2,1계층: 하드웨어 계층 7계층(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6계층(어플리케이션-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간의 인코딩, 데이터 압축, 암호화, 복호화5계층(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세션 만들기,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결, 세션의 품질 확인, SSH 프로토콜 4계층: 전송계층, 송/수신지의 포트 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 == 서비스의 구분이 가능하다. L4 스위치에서는 서비스 별로 그룹을 만들어 부하를 분산시키는 로드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3계층(라우터):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라우팅을 결정한다. 패킷은 3계층에서 데이터를 부르는 용칭, 오고 가는 데이터를 말한다.라우팅은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그 경로를 찾아가는.. 2025. 2. 1.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1편 - 서버 톺아보기 원래 3편 몰아서 한 번에 업로드 하려 했는데 생각보다 양이 많아져서 나눠서 올리기로 함.IT 인프라 구성요소 톺아보기IT 인프라의 구성 요소로는 HW, SW, Network 등등 이다. 온프레미스 vs 퍼블릭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구축되고 운영, 특정 그룹만 접근이 가능한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는 CSP가 구축하고 운영, 비용만 지불하면 누구나 접근 가능(AWS, Azure, GCP)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프라이빗 + 퍼블릭멀티 클라우드 = 퍼블릭 + 퍼블릭  IDC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꽂을 수 있는 선반 비스무리 한 것을 서버랙(Rack)이라 한다. 데이터 센터는 서버 장비를 랙에 마운트해서 운영한다.서버 룸에는 콜드 존이 존재하고, 장비들이 열로 다운되지 않게 관리한다.서.. 2025. 1. 27.
[직무탐색] 클라우드 분야 진출 준비 클라우드 분야 진출 준비이전에 포스트했던 클라우드 엔지니어 로드맵과 비슷한 결의 포스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 서버 시장은 대부분 클라우드로 옮기고 있다. 쓰는게 웬만하면 득이 됨. 인프라를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IaaS. 요즘은 클라우드 딸깍딸깍이면 가상 서버 금방 만들어서 띄울 수 있다. 심지어 개발자도 뚝딱뚝딱 만들어 낼 수 있다. 클라우드 담당 전문가의 역할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게 팩트이고, 서버 띄우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게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시장이 넓고, 아키텍쳐 분야로 가면 전문가의 영역은 존재한다. 어떤 아키텍쳐를 구성할 지 정하는 역할군으로, 많이 쉬워지긴 했어도 배워야 할 것이 많고 어려운 직무이다.  또 하나의 트렌트로는 멀티 클라우드도 있는데 이는 A.. 2025. 1. 24.
[직무탐색] SW개발자, 엔지니어 직무 딥다이브 날짜 250124 금 어제 한 일 클라우드 엔지니어 직무 탐색클라우드와 데이터베이스 차이 이해힙 자료구조 공부인프라, 아키텍쳐, 프로토콜 이해 인프라인프라는 시스템이 돌아가기 위한 환경을 말한다. 애플리케이션이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외부적 요인으로 하드웨어,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이 포함된다. 클라우드에서는 IaaS 에서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한다.이러한 인프라 위에서 돌아가는 시스템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고, 어디서 개발되는지에 따라 웹으로, 앱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 등등 그 용도에 맞게 불린다. 이것들을 총망라해서 소프트웨어라고 부른다. 클라우드에서 어떤 서버를 띄워달라고 할 때 띄워줄 수 있는 사람이 클라우드 엔지니어이다. 아키텍쳐과거 백엔드 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는데(monoliti.. 2025.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