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2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3편 - 스토리지 톺아보기 스토리지비휘발성 저장장치.인공지능, IOT 기술 등장으로 데이터 홍수의 시대가 됨.이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이 조명받기 시작함.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가상화 기술 등등)그래도 근간이 되는 스토리지 기술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함. RAID =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 디스크의 고가용성과 고성능을 달성한다.RAID는 HW, SW 적으로 모두 지원이 가능하다.방식에 따라 RAID Level이 구분된다. RAID 0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때, 데이터를 작은 조각인 세그먼트로 나눠서 저장한다. RAID 0는 논리적으로 연속된 데이터 세그멘트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방법이다.하나의 디스크 폴트만 발생해도 데이터 전체를 잃어버리게 된다. 가용성이 낮아 실무에서는.. 2025. 2. 2.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1편 - 서버 톺아보기 원래 3편 몰아서 한 번에 업로드 하려 했는데 생각보다 양이 많아져서 나눠서 올리기로 함.IT 인프라 구성요소 톺아보기IT 인프라의 구성 요소로는 HW, SW, Network 등등 이다. 온프레미스 vs 퍼블릭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구축되고 운영, 특정 그룹만 접근이 가능한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는 CSP가 구축하고 운영, 비용만 지불하면 누구나 접근 가능(AWS, Azure, GCP)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프라이빗 + 퍼블릭멀티 클라우드 = 퍼블릭 + 퍼블릭 IDC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꽂을 수 있는 선반 비스무리 한 것을 서버랙(Rack)이라 한다. 데이터 센터는 서버 장비를 랙에 마운트해서 운영한다.서버 룸에는 콜드 존이 존재하고, 장비들이 열로 다운되지 않게 관리한다.서.. 2025. 1.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