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2

[클라우드] MSA가 뭐고 MSA: Micro Service Architect소프트웨어 아키텍쳐 중 하나로, 독립적으로 구성 가능한 작은 단위의 서비스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구조를 말한다. 기존 서비스의 아키텍쳐는 시스템(인프라) 위에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올라가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되는 아키텍쳐를 Monolitic 시스템, 즉 단일 시스템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로 왜 쪼개지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다.마이크로 단위의 기준이 뭘까? 어디까지 단위를 마이크로 서비스라고 하나?무조건 쪼갠다고 하는 게 정답인가?쪼개면 뭐가 좋아지냐? 일단 시스템을 쪼개면 쪼갠 단위에서 각각 호출하고 사용할 수 있다.대부분의 서비스는 서로 연동되어 있고, MSA의 철학도 각각 통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마이크로 서비스.. 2025. 1. 23.
[직무탐색] 클라우드 엔지니어 로드맵 클라우드 엔지니어 로드맵가장 유사한 직종은 데브옵스전통적인 TA, 서버 엔지니어 정도로 바라볼 수도 있다.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할 것.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회사로 나뉨.가장 유명한 퍼블릭 클라우드 회사: AWS, AZURE, GCP프라이빗 클라우드: 가상화 솔루션(VMware) -> IDC -> 클라우드화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보다 전문화된 네트워크, 운영체제, 가상화의 이해를 높여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AWS의 구성을 만드는 입장과 활용해서 적용하는 입장으로 나뉘어진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개발을 하다보면 익숙해질 수 있다.프라이빗 클라우드 분야는 굉장히 난이도가 높다. 전문성이 필수. 클라우드 엔지니어라 함은 둘 다 하기보다는 한 쪽에만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어떤 회사는 퍼.. 2025.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