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2편 - 네트워크 톺아보기
2편네트워크 기초7,6,5계층: 소프트웨어 계층4,3,2,1계층: 하드웨어 계층 7계층(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6계층(어플리케이션-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간의 인코딩, 데이터 압축, 암호화, 복호화5계층(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세션 만들기,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결, 세션의 품질 확인, SSH 프로토콜 4계층: 전송계층, 송/수신지의 포트 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 == 서비스의 구분이 가능하다. L4 스위치에서는 서비스 별로 그룹을 만들어 부하를 분산시키는 로드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3계층(라우터):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라우팅을 결정한다. 패킷은 3계층에서 데이터를 부르는 용칭, 오고 가는 데이터를 말한다.라우팅은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그 경로를 찾아가는..
2025. 2. 1.
[클라우드] IaaS, PaaS, SaaS
아이아쓰, 파쓰, 싸쓰면접에서도 물어볼 수 있고, 정보기술사 시험 문제로도 출제되는 개념~.IaaS, PaaS, SaaS의 특징 및 구축 방법을 설명하시오. IaaS와 클라우드 관계는 무엇이고, 호스팅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IDC는 물리 서버를 모아둔다. 호스팅은 서버의 공간을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IDC에서는 유연하게 서버 리소스를 제공하기 어려웠다. 최근 기존의 IDC가 클라우드 형태로 많이 바뀌게 되면서, 서버 리소스를 인스턴스 레벨로 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IaaS이다. 서버 리소스 제공이 훨씬 유연해진 것이며, 클라우드가 IaaS보다 큰 범위에 해당한다. PaaS: Platform as a Ser..
2025.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