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고] 중앙대학교 졸업식 후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20.
[취준] 현대오토에버 Frontend 개발 서류지원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2. 2.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3편 - 스토리지 톺아보기 스토리지비휘발성 저장장치.인공지능, IOT 기술 등장으로 데이터 홍수의 시대가 됨.이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이 조명받기 시작함.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가상화 기술 등등)그래도 근간이 되는 스토리지 기술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함. RAID =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 디스크의 고가용성과 고성능을 달성한다.RAID는 HW, SW 적으로 모두 지원이 가능하다.방식에 따라 RAID Level이 구분된다. RAID 0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할 때, 데이터를 작은 조각인 세그먼트로 나눠서 저장한다. RAID 0는 논리적으로 연속된 데이터 세그멘트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방법이다.하나의 디스크 폴트만 발생해도 데이터 전체를 잃어버리게 된다. 가용성이 낮아 실무에서는.. 2025. 2. 2.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2편 - 네트워크 톺아보기 2편네트워크 기초7,6,5계층: 소프트웨어 계층4,3,2,1계층: 하드웨어 계층 7계층(어플리케이션): 브라우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6계층(어플리케이션-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간의 인코딩, 데이터 압축, 암호화, 복호화5계층(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세션 만들기,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결, 세션의 품질 확인, SSH 프로토콜 4계층: 전송계층, 송/수신지의 포트 번호를 인지할 수 있다 == 서비스의 구분이 가능하다. L4 스위치에서는 서비스 별로 그룹을 만들어 부하를 분산시키는 로드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3계층(라우터):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라우팅을 결정한다. 패킷은 3계층에서 데이터를 부르는 용칭, 오고 가는 데이터를 말한다.라우팅은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그 경로를 찾아가는.. 2025. 2. 1.
[인프라] IT 인프라 정복하기 1편 - 서버 톺아보기 원래 3편 몰아서 한 번에 업로드 하려 했는데 생각보다 양이 많아져서 나눠서 올리기로 함.IT 인프라 구성요소 톺아보기IT 인프라의 구성 요소로는 HW, SW, Network 등등 이다. 온프레미스 vs 퍼블릭 클라우드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구축되고 운영, 특정 그룹만 접근이 가능한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는 CSP가 구축하고 운영, 비용만 지불하면 누구나 접근 가능(AWS, Azure, GCP)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프라이빗 + 퍼블릭멀티 클라우드 = 퍼블릭 + 퍼블릭  IDC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꽂을 수 있는 선반 비스무리 한 것을 서버랙(Rack)이라 한다. 데이터 센터는 서버 장비를 랙에 마운트해서 운영한다.서버 룸에는 콜드 존이 존재하고, 장비들이 열로 다운되지 않게 관리한다.서.. 2025. 1. 27.
[클라우드] IaaS, PaaS, SaaS 아이아쓰, 파쓰, 싸쓰면접에서도 물어볼 수 있고, 정보기술사 시험 문제로도 출제되는 개념~.IaaS, PaaS, SaaS의 특징 및 구축 방법을 설명하시오. IaaS와 클라우드 관계는 무엇이고, 호스팅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IDC는 물리 서버를 모아둔다. 호스팅은 서버의 공간을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IDC에서는 유연하게 서버 리소스를 제공하기 어려웠다. 최근 기존의 IDC가 클라우드 형태로 많이 바뀌게 되면서, 서버 리소스를 인스턴스 레벨로 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IaaS이다. 서버 리소스 제공이 훨씬 유연해진 것이며, 클라우드가 IaaS보다 큰 범위에 해당한다. PaaS: Platform as a Ser.. 2025.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