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왜 쓸까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IDC, 온프레미스, 프라이빗 네트워크의 장점들의 합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왜 나왔을까? 기술의 등장배경을 탐색하면 왜 나왔는지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클라우드 전환 전략구성전략보안1. 클라우드 전환 전략기존 기능의 일부를 클라우드로 이전해 ROI를 보면서 전환의 비용, 효과, 리스크를 점검하기 위한 전략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다. 2. 구성 전략어떤 기능은 시간대, 일자별, 월간 트래픽에 따라 필요한 서버의 양이 천차만별이다. 이 때, 클라우드의 Auto-scale 기능으로 필요한 서버를 수요에 맞게끔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트래픽이 심하지 않은 기능은 기존 IDC로 운영하고, 트래픽이 유동적인 기능은 클라우드로 전환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장점을 활용하.. 2025. 1. 24. [직무탐색] 클라우드 분야 진출 준비 클라우드 분야 진출 준비이전에 포스트했던 클라우드 엔지니어 로드맵과 비슷한 결의 포스트가 되지 않을까 싶다. 서버 시장은 대부분 클라우드로 옮기고 있다. 쓰는게 웬만하면 득이 됨. 인프라를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IaaS. 요즘은 클라우드 딸깍딸깍이면 가상 서버 금방 만들어서 띄울 수 있다. 심지어 개발자도 뚝딱뚝딱 만들어 낼 수 있다. 클라우드 담당 전문가의 역할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게 팩트이고, 서버 띄우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게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시장이 넓고, 아키텍쳐 분야로 가면 전문가의 영역은 존재한다. 어떤 아키텍쳐를 구성할 지 정하는 역할군으로, 많이 쉬워지긴 했어도 배워야 할 것이 많고 어려운 직무이다. 또 하나의 트렌트로는 멀티 클라우드도 있는데 이는 A.. 2025. 1. 24. [회고] 개발 회고 주전공이니까주전공이 소프트웨어인지라 개발 쪽으로 프로젝트를 하고 포트폴리오를 나름대로 열심히 쌓아올렸지만, 여전히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결정하지 못했다. CS 과목을 들을 때는, 이게 어디에 쓰이고 왜 배워야 하는지 이해가 하나도 안됐었다. 항상 내가 부족하고 공부를 안한 탓이라며 나 자신을 탓했고, 졸업하기 위해 학기마다 열리는 수업을 이해도 못하면서 들었다. 처음에는 왜 언어를 배워야 하는지도 모르고 언어를 공부했고, 남들 다 하니까 백준, 프로그래머스를 풀었다. 왜 해야하는지는 전혀 알 수 없었다. 명분과 동기가 없이 시작한 공부여서일까 매번 흐지부지 끝나버릴 때가 많았다. 프로젝트 해야된대그렇게 어영부영 공부하다보니 졸업하려면 프로젝트를 해야한단다. 서비스 개발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고 전공 공.. 2025. 1. 24. [직무탐색] SW개발자, 엔지니어 직무 딥다이브 날짜 250124 금 어제 한 일 클라우드 엔지니어 직무 탐색클라우드와 데이터베이스 차이 이해힙 자료구조 공부인프라, 아키텍쳐, 프로토콜 이해 인프라인프라는 시스템이 돌아가기 위한 환경을 말한다. 애플리케이션이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외부적 요인으로 하드웨어,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이 포함된다. 클라우드에서는 IaaS 에서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한다.이러한 인프라 위에서 돌아가는 시스템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고, 어디서 개발되는지에 따라 웹으로, 앱으로, 서버 어플리케이션 등등 그 용도에 맞게 불린다. 이것들을 총망라해서 소프트웨어라고 부른다. 클라우드에서 어떤 서버를 띄워달라고 할 때 띄워줄 수 있는 사람이 클라우드 엔지니어이다. 아키텍쳐과거 백엔드 시스템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는데(monoliti.. 2025. 1. 24. [자료구조] 우선순위 큐 & 힙 코테 준비에 대한 고찰 코테 언어지금까지는 코딩테스트 언어로 파이썬을 써왔었다. 코딩을 참 못하는 나에게 파이썬은 그나마 코테를 볼 수 있게 도와준 감사한 언어다. 하지만 취업을 준비하며 직무에 따라 유동적으로 코테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프론트엔드 준비에는 JS, 백엔드에서는 Java, Python, 임베디드에서는 C++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인프라 직무를 준비한다면 코테의 비중을 조금 덜 필요도 있다. 이처럼 직무에 따라 비중을 둬야 하는 언어가 다르지만, 아직 어떤 직무로 갈지 확정하지 못했으니 자료구조, 알고리즘 같이 핵심에 집중하기로 했다.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Kit 프로그래머스 고득점 키트의 문제를 맛만 본 흔적이다. 우선 이 고득점 키트에 있는 유형을 익히고 파이썬으로 풀어본 .. 2025. 1. 24. [클라우드] 클라우드와 데이터베이스의 차이 IDC: Internet Data Center, 인터넷과 인터넷과 연결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센터다.IDC에는 서버가 있다. 실제 물리 서버가 존재하는데, 이를 클라우드화해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처럼 사용한다. 서버에는 웹 서버, WAS(Web Application Sever)서버, DB서버, 채팅서버 등등 다양한 종류의 서버가 존재한다.(웹서버와 WAS의 차이는 정적인지, 동적인지의 차이)그리고 서버의 종류에는 DB 서버가 포함된다.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는 DB 서버에 저장된다.서버에 저장된다는 말은 DB 서버에 데이터가 저장된다는 뜻이다.DB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며 마치 하드디스크와 같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에 이미지가 있고, 이를 보고 싶으면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워드 파일을 읽으려면 워드 프로그램.. 2025. 1. 23. 이전 1 2 3 4 다음